
패션쇼에서는 때때로 새로운 세대의 패션 애호가들을 탄생시키는 동시에, 패션 업계 사람들로 인해 그들의 매혹이 어디서 시작되었는지를 상기시키는 순간이 있다. 2024년 말, 26세 모델 아노크 야이가 바로 그런 순간의 중심에 있었다. 파리에서 열린 Mugler SS24 쇼를 마감하며, 그녀는 드레스와 마스크의 천이 뒤따라 환상적으로 펄럭이는 가운데 런웨이를 거침없이 걸었다. 1. 아노크 야이 데뷔 스토리2017년 하워드 대학교 홈커밍에서 찍힌 사진 이후 그녀는 곧바로 모델 에이전시와 계약을 맺게 된다. 멀마 후 그녀는 1997년 나오미 캠벨 이후 프라다 쇼 오프닝을 장식한 모델로 역사를 쓰게 되었다. 🌟 1990년대를 풍미한 슈퍼모델 리스트 알아보기 2. 시대를 초월한 스타일 영감옷이 날개니 어떤 옷이든..

시에나 밀러는 옷도 잘 입지만 특히 챙이 넓은 플로피 햇을 자주 쓰고 다니는 편입니다. 누구보다 잘 어울리기도 하고요. 시에나 밀러의 플로피 햇 쓰는 스타일을 참고하여 모자 멋지게 쓰는 법을 배워 봅니다. 1. 보헤미안 시크의 아이콘 시에나 밀러시에나 밀러는 보헤미안 시크의 아이콘으로 불립니다. 2000년대 초반 특히 플로피 햇을 비롯한 독특한 패션으로 인기를 끌었습니다. 그녀가 플로핏 햇을 유독 잘 활용했던 이유과 그녀의 패션 스타일에 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더불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모자 종류는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시고요. 🌟 세상의 모든 모자 종류 리스트 2. 보헤미안 시크의 완성시에나 밀러가 플로피 햇을 즐겨 쓴 이유는 그녀의 시그니처 스타일인 보헤미안 시크 룩의 핵심 아이템이었기 때문입니다...

비슷하지만 엄연히 다른 그런지룩과 방랑자룩이 같거나 다른, 그러면서 현격한 차이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로 음악가 중심으로 파생된 그런지룩은 커트 코베인, 코트니 러브 등을 중심으로 퍼졌으며 방랑자룩을 대표하는 셀럽은 케이트 모스가 있습니다. 1. 그런지룩의 기원그런지룩은 1990년대 초반 탄생한 룩입니다. 미국 시애틀의 얼터너티브 록과 펑크 문화가 콜라보되면서 상업주의를 거부하면서 파생된 룩입니다. 패션룩의 모든 것, 그중에서 그런지룩에 관해서는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시고요. 🌟 그런지룩에 관하여 알아보기그런지룩은 냉소와 무기력이 지배한 포스트모던 청년들의 무심하고 무관심한 스타일의 저항 혹은 반항 정신을 시초로 볼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커트 코베인이 있습니다. 당연히 패션에선 레이어드 룩과 콜라..

1990년대만 해도 한국과 서양의 메이크업 격차는 상당히 차이가 난 편이었습니다. 여기서 서양은 미국을 말하는 것이겠죠. 아무튼, 한국은 모든 면에서 미국을 따라 하는 편이었는데요. 일본과는 문화 개방 이전이라서 공식적인 루트로는 도저히 정보를 알 수가 없었습니다. 1. 1993년 화장품 광고 비교1993년은 한국에도 특별한 해였습니다. 이영애가 광고하는 마몽드가 대히트를 치면서 여성들의 메이크업 색상에 다소 변화를 주게되는데요. 기본적으로 서양의 화장품 광고나 화장품 스타일도 크게 달라 보이진 않았습니다. 화장품 회사에도 서양의 스타일을 벤치마킹하기 바빴을 테니 말입니다. 그런 와중에 이영애의 브라운톤 메이크업 제시는 한국 여성들의 구미에 딱 맞아떨어졌던 겁니다. 크리스찬 디올의 화장품 광고도 지금 보..

르네상스 시대를 대표한 대표적인 디자인 요소는 크게 세 개로 나뉠 수 있습니다. 슬래시와 러프 그리고 패드가 이에 해당합니다. 각각 특징에 대해 알아봅니다. 1. 슬래시의 유래 및 역사슬래시(slash)는 르네상스 시대 패션의 중요한 요소로 당시 독특한 미적 감각과 사회상을 잘 보여줍니다. 십자군 전쟁 중 스위스 병사들이 전투에서 입은 군복의 칼자국이나 찢어진 부분을 임시로 덧대어 수선한 것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고 있는데 독일에서 퍼지면서 패션 요소로 발전하게 됩니다.이후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었으며 1500~1535년 사이에 특히 유행하였고 17세기 중반까지도 사용되었습니다. 소위 옷에 칼집을 낸 것 같은 요소를 슬래시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1.2. 슬래시의 특징슬래시는 겉옷에 의도적으로 칼집이..

그래피티 룩은 길거리 예술인 그라피티에서 영감을 받아 탄생한 룩입니다. 동네 굴다리 등 혹은 낡은 거리 벽면 등에 스프레이 등으로 현란하게 낙서나 그림이 그려져 있는데요. 그것을 패션룩으로 표현한 것을 그래피티 혹은 그라피티 룩이라고 합니다. 1. 그래피티 룩의 시작그래피티란 단어는 오래전부터 있었지만 그라피티 룩은 1970년대 영화 아메리칸 그래피티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1960년대 미국 젊은이들의 자유분방한 라이프 스타일과 복장을 지칭하는 용어로 쓰이기 때문에 반드시, 요즘 인식하고 있는 벽에 그려진 스프레이 낙서로 한정할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영화 아메리칸 그래피티에 관한 리뷰는 아래 포스팅을 읽어 보면 개념 정리에 확실히 이해가 될 것 같으니 꼭 읽어 보시고요. 🌟영화 아메리칸 그래피티 자세..

종교적 영향으로 유달리 수직성을 강조한 고딕 시대를 대표하는 패션 아이템들을 찾아보았습니다. 파티 컬러드 코스튬부터 푸르푸앵 등 생소하면서 익숙한 느낌의 의상 아이템들입니다. 1. 고딕 시대 신분에 귀속된 하인 복장 파티 컬러드 커스튬한국식으로 누빔 의상처럼 색상이 분할된 의상을 의미하는 파티 컬러드 코스튬입니다. 주로 두 가지 이상의 강렬하게 대비되는 색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좌우나 위아래 색상이 명확하게 나뉘는 것이 특징입니다. 아수라 백작이 연상되는데요. 주로 특정 직업이나 신분, 혹은 상징적 의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현대에는 광대나 할리퀸 의상으로 활용되는데요.왜 이런 옷을 입나 싶었는데 남성용 스타킹에서 자주 나타났으며, 가문이나 봉건 영주의 문장에 사용된 색상을 의상..

중세 후기 유럽에서 유행했던 독특한 형태의 신발 크렉코우에 대해 알아봅니다. 앞코가 뾰족한 요정 신발 스타일은 과거 귀족과 성직자들의 전유템이 었는데요. 어쩌다가 만화나 동화 속 요정이나 마법사들의 신발이 되었는지 매우 흥미롭습니다. 1. 앞이 뾰족한 크렉코우 유래앞이 길게 뾰족하게 나온 크렉코우(crackow)는 폴란드의 도시 크라쿠프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이 신발은 14세기 중엽 영국 리처드 2세의 아내 보헤미아의 앤을 통해 최초 유입되었다고 합니다. 스타일 아이콘 앤 왕비는 폴란드 및 보헤미아 귀족 문화를 영국에 가져왔고 그중 하나가 이 신발이었습니다.그러다 보니 1300년대 후반부터 1400년대 초까지 프랑스, 잉글랜드, 신성로마제국 등 유럽 귀족들 사이에서 유행했습니다. 이 신발은 동화나 만화..
- Total
- Today
- Yesterday
- 90년대패션
- 의복공부
- 모자종류
- 패션스터디
- 러플칼라
- 패션룩종류
- 1910년대패션
- 패션역사
- 80년대트렌드
- 중세패션
- 패션트렌드
- 그런지패션
- 1980년대패션
- 퍼스트레이디룩
- 옷깃종류
- 패션스타일
- 1960년대패션
- itgirl
- 그런지룩
- 패션공부
- 에디트헤드
- 네크라인종류
- 셀럽스타일
- 패션룩
- 2000년대슈퍼모델
- 패션룩북
- 플래퍼룩
- 오연서뷰티
- 패션아이템
- 패션네크라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