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목 위까지 주름이 부담스럽게 많이 진 러플 칼라 의상은 1500년대 남성이 먼저 착용한 아이템이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것을 여성이 사회적 지위 혹은 부의 과시용으로 차용하면서 진화하게 됩니다. 그래서 여성들 사이에서 러플이 화려하고 높을수록 부러움을 한 몸에 받았다고 합니다.

 


    르네상스 운동 이전까지 유행했던 러플 칼라

     

    러플 칼라 의상은 유독 16세기 이전에 유행한 경향이 있는데요. 물론 상류층에 국한한 이야기이긴하지만 그도 그럴 것이 리넨 소재의 러플 칼라는 만들기도 힘들고 엄청나게 값이 비싼 데다 착용하고 조금 시간이 지나면 형태가 무너지는 것은 물론 오래 입을 수 없는 불편하고 비싼 의상 아이템 중 하나였습니다. 러플 칼라는 소위 옷깃의 종류이지만 따로 떼어서 착용할 수 있는 패션템이기도 합니다.

     

     

    이렇게 과장된 러플 칼라가 유행한 이유는 드레스로 인해 피부 마찰이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함이었다고 하는데요. 아무리 생각해도 턱선까지 닿은 러플 칼라로 인해서 더 상처를 많이 입었을 것 같습니다.

     


    계층에 따라 컬러가 달랐던 러플 칼라

     

    뻣뻣한 러플 칼라는 녹말 풀을 먹이면서 변형 없이 여러 번 착용할 수 있게 되었고, 이러한 귀족층 아이템을 일반 서민층이나 특수층이 안 따라 할 리가 만무죠. 이렇게 비교적 유지 관리가 용이해지면서 가격도 조금 내려가고 디자인 및 컬러도 다양해지기 시작했는데요. 그중에서 보라색으로 물을 들여 착용한 러플 칼라는 매춘부를 표식 혹은 상징하였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튀고 사치스러운 것을 좋아하기에 컬러도 보라색을 추구한 게 아닌가 싶습니다.

     


     

    위엄을 과시하는 용도

     

    서민층이 멋을 내기 위한 수단으로 러플 칼라를 착용했다면 왕실, 특히 여왕님은 위엄을 과시하는 용도로 활용하였습니다. 빳빳하고 높게 솟은 러플은 도도함의 상징, 위엄의 상징, 권위를 상징하는 아이템이었습니다. 뻣뻣한 옷깃을 착용했으니 엘리자베스 여왕은 고개를 숙이지도 못하고 먹고 마시는 일조차 힘들어했다고 합니다. 당연히 여왕을 위시하는 귀부인들도 이를 따라 했고 인사를 할 때 고개를 숙이지 못하니 무릎을 낮춰서 인사하는 관행이 생기게 된 이유이기도 하고요.


     

    러플 칼라 대신 가슴 노출로 그리고 21세기

     

    엘리자베스 여왕의 위세가 시들해지면서 유행하는 패션도 변화를 이루게 됩니다. 그렇게 점차 러플 칼라의 인기는 사라지고 19세기를 지나 20세기에는 더이상 사용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그러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러플은 새로운 패션템으로 자리 잡고 있는 것 같습니다. 물론 유행하는 정도는 아니지만 적어도 패션 디자이너들 사이에서 일종의 동경하는 아이템 혹은 창조적인 아이템으로 쓰임새가 많아진 것 같습니다. 뭔가 색다르고 독특하고 눈에 띄는 매력이 있으니까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