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가우초(Gaucho)는 크라운 윗부분이 평평하고 챙이 넓고 납작한 얕은 관모인데 한국의 갓과 상당히 비슷하여 함 찾아 보았습니다. 가우초는 일명 스페인 카우보이 모자로 유명하지만 본래 남아메리카 초원 지역의 유목생활을 하던 목동들이 쓰던 스타일입니다.
이 유목민들은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 등 남미인들을 지칭하는데 유럽과 인도의 혼혈 내지는 이들을 조상으로 둔 이들로 상당히 자유로운 영혼들로 보입니다. 이들을 상징하는 모자 이름이 가우초이기도 하지만 이들을 일컬어 가우초라고도 합니다. 가우초 모자는 보통 펠트로 만들어져서 추운 날씨에 적합하며 말을 타고 착용하기에 날아가지 않기 위해 바람띠도 달려있습니다. 그렇다면 한국 선비의 상징 갓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 걸까요?
갓의 유래와 형태

고전극만 보면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한국 전통 모자 갓은 설명이 따로 필요없을 정도로 매우 익숙한 모자입니다. 하지만 현대인들이 갓을 쓰고 다니지는 않죠. 그런데 넷플릭스에서 방영한 몇 년 전 인기 폭발 드라마 킹덤을 보고 서양인들이 가장 관심을 가진 게 바로 모자였다죠. 한국 모자들 왜케 예쁘냐며 난리나서 한국에 온 셀럽들 또 한국 갓 씌우고 등등 그랬던 것 같은데요. 이것이 멋스런 아이템이 될 수 있다는 걸 왜 미처 몰랐는지. 그런데 아직까지 갓을 쓰고 다닌 남성들은 보질 못한 것 같네요. 서양인들은 좀 쓰고 다니려나? 암튼 이 갓은 모자의 나라라는 별칭이 붙은 조선 시대 , 남성들이 쓰던 모자로 언뜻 보기에는 망사 조직처럼 보이는 대올을 엮어 만든 형태라고 합니다. 한자로는 립이라고 해서 보통 흑립으로 많이 불리기도 합니다. 갓이 한국어로 모자에 해당하는 것이라 그의 하위 개념으로 흑립 갓으로 부르는 게 맞는 것 같기도 하고요.
갓과 가우초의 차이
갓은 가우초와 거의 형태가 비슷하지만 펠트와 대올이라는 재질의 차이가 있고요. 한국에는 남성의 신분과 결혼유무의 상태 확인차 착용했다면 남미의 가우초는 오로지 방한용으로 실용성있는 목적으로 착용한 것같습니다.

다시 갓 얘기를 덧붙이자면 갓이 크라운 부분이 원통형으로 구성된 것은 상투를 보호하기 위함이었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방한이나 햇볕 가리는 용도와는 전혀 상관없이 그 잘난 상투를 가리기 위함이었다는 것인데요. 갓은 재질이 약해서 외부충격에 매우 약합니다. 그래서 종종 풍속도 같은 걸 보면 찌그러진 갓도 많이 볼 수가 있는데 그 또한 멋스럽긴 하지만 당시에는 상당히 금기시했었겠죠.
그리고 갓은 중인 이상의 신분과 기혼자만이 쓸 수 있었는데 나름 멋을 내기 위해서 갓끈을 각종 구슬로 엮은 것으로 길게 늘어뜨려 멋을 더했다고 합니다. 일종의 요변이라고 볼 수 있죠. 물론 사대부들이 이 갓을 엄청 사랑하고 아꼈으며 사람을 만날 때는 반드시 갓을 써야 했다고 합니다.

위처럼 가우초와 갓은 재질과 크라운 높이에 있어 약간 차이가 나긴 합니다. 저 촌스러운 구슬 끈도 치워 버리는 게 낫긴 하겠지만요. 저 스타일을 잘 활용해서 여성들이 여름에 선캡 대용으로 쓰고 다니면 상당히 근사할 것 같기도 합니다만.
'옷에 관한 모든 것 > fashion i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성들이 더 좋아하는 베레모 스타일 뉴스보이 햇에 관하여 (0) | 2022.03.03 |
---|---|
반항의 상징이자 멋쟁이 아이템 베레모 스토리 (0) | 2022.03.02 |
헷갈리는 신사용 모자 종류 살펴보기 (0) | 2022.02.21 |
특히 남성들이 사랑하는 모자의 종류 보기 (0) | 2022.02.20 |
여성들이 가장 사랑하는 모자들 (0) | 2022.02.18 |
- Total
- Today
- Yesterday
- 옷깃종류
- 셀럽스타일
- 오연서뷰티
- 러플칼라
- 플래퍼룩
- 퍼스트레이디룩
- itgirl
- 1980년대패션
- 네크라인종류
- 패션네크라인
- 패션트렌드
- 패션룩종류
- 패션공부
- 에디트헤드
- 패션스타일
- 80년대트렌드
- 의복공부
- 패션룩북
- 패션스터디
- 2000년대슈퍼모델
- 1910년대패션
- 90년대패션
- 모자종류
- 패션아이템
- 패션역사
- 중세패션
- 의복의역사
- 패션룩
- 1960년대패션
- 그런지패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